음악교육

고전주의 기악음악 특징(협주곡,현악4중주,독주소나타,오페라)

soonpi 2023. 6. 26. 21:41

지난 시간엔 고전시대의 특징과 대표작곡가 3명!
하이든, 모차르트, 베토벤에 대해 짧게 알아보고
이 작곡가들 각각의 교향곡의 특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잘 기억하고 계시겠죠?
 
다시 한번, 가볍게 복습해 보고~
오늘은 3명의 작곡가들의 협주곡과 현악 4중주,
피아노 소나타와 오페라의 특징에 대해 공부해 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고전주의

고전주의는 음악의 순수성, 구성미, 형식미
중요하게 여기는 음악적 특징을 갖고
있다고 했습니다.
음악 외적인 요소는 중요하지 않고
음악 그 자체가 중요하기 때문에
절대음악(absolute music)이라고 불립니다.
 
그럼 지난 시간에 이어서
협주곡부터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협주곡

고전시대 협주곡 특징

-오케스트라와 하나의 악기가 대비를 이루는 형태의
독주협주곡을 선호.
-특히 바이올린, 피아노를 위한 협주곡 다수 작곡
 
=>화려한 연주기교를 구사하는
독주악기와 관현악을 위해 작곡된 기악곡.
 
*카덴차(Cadenza)
협주곡에서 독주자가 해당 악곡의 주제를 바탕으로
자신의 연주 기량을 마음껏 드러내며 즉흥연주 하는 부분.
 
*심포니 콘체르탄테
(=협주곡 교향곡)
2명 이상의 연주자와 심포니의 협주곡.
고전시대 특유 협주곡으로 외형적으로는 바로크 합주협주곡과 비슷하지만 형식적인 면은 고전.
 
 

하이든 협주곡

-피아노협주곡 11곡.
-그 외, 바이올린, 호른, 첼로, 오르간, 트럼펫 협주곡 작곡.
 

모차르트 협주곡

-피아노 협주곡 20여 곡.
-그 외, 바이올린, 호른, 플루트, 오르간, 클라 등 협주곡 작곡.
-협주곡 분야 중 가장 탁월.
 

베토벤 협주곡

-피아노 협주곡 5곡.
-그 외, 바이올린, 3중 협주곡(피아노, 바이올린, 첼로)
-대가적인 테크닉 요구
 
 

현악 4중주

현악 4중주 유래 및 특징

-바로크 트리오 소나타에서 유래
-높은 선율악기 2+낮은 선율악기 1+계속저음 1
-규모가 작은 실내악 음악으로 궁정의 Back ground
음악 연주.
 
*디베르티멘토(divertimento)
-현악 4중주의 초기형태모습.
저녁에 실내에서 즐기는 음악의 하나.
기분전환. 여흥이라는 뜻의 이탈리아어.=오락.
엔터테인먼트
 
 

하이든 현악 4중주

-70여 곡 작곡
-현악 4중주를 정착시킨 작곡가
-처음에는 가벼운 느낌으로 작곡하였으나
나중에는 진지한 목적으로 음악 연주
대표곡 : 러시아 4중주, 에르되디 4중주 중 3번'황제'
 

모차르트 현악 4중주

-37곡 작곡
대표곡 : 하이든 4중주 6개 곡 중 '사냥'
             ->하이든에게 헌정
           : 불협화음 4중주
 

베토벤 현악 4중주

-17곡 작곡
-가장 심오하면서도 난해한 것이 특징
-후기에 많이 작곡
대표곡 : 라주모프스키 4중주
              f minor 4중주
             큰 fuga 4중주
             F Major 4중주 -> 마지막 악장.
             피날레 부분에 문구를 적음.
           '꼭 그래야 하나! 그래야 한다!'
 

하이든 F Major 4중주

소나타

*피아노 곡 위주로 소개됩니다.

하이든 독주소나타

-52개 피아노 소나타 작곡
-다양한 악장시도.
-모노테마(=하나의 주제 사용. 1 주제, 2 주제 구분 x)
-후기에 작곡한 50,51,52번은 런던소나타라고 부름.
 

모차르트 독주소나타

-19개 피아노 소나타 작곡
-단순 명료한 짜임새
-초기 : 1-6번 / 중기 : 7-13번 / 후기 : 14-19번
 

베토벤 독주소나타

-32개 피아노 소나타 작곡
-고전파를 완성시키고 낭만파를 여는 과도기적 작품.
-1기 : 1-11번. 주로 4악장 구조 특징
 2기 : 12-27번. 실험적인 정신. 느린 악장 축소. 긴 트릴 사용.
        이 중, 26번 고별은 베토벤이 직접 표제 붙임.
         (1악장 : 고별, 2악장 : 부재, 3악장 : 재회)
3기 : 28-32번. 고도의 음악적 해석. 기교적 숙달 요구
        소나타에서 대위법적 양식 나타남.
        변주형식 나타남.
        긴 트릴 많이 사용.
        대위법적 양식 쓰임(푸가토)
 
 

오페라

**글룩의 오페라 개혁 : 
'오르페오와 에우리디체'를 통해서 극의 줄거리와 음악의 긴밀한 연결성 강조.
레치타티보와 아리아 반주 차이를 줄여야 한다고 주장.
이전까지의 오페라가 과도한 장식과 아리라에 집중이
되어 극의 줄거리에 상관없는 음악이 많이 나타남.
 
**부퐁논쟁:
1752년, 이태리인에 의해 파리에서 상영된 페르골레시의 오페라 부파 '마님이 된 하녀'에서 비롯하여 
프랑스 궁정 오페라 및 프랑스 음악의 우월성을 믿는
일파와 이태리 음악을 신봉하는 일피가 대립하여 격렬히 논쟁.
 
=> 위 두 가지 사건이 고전시대 오페라에 새롭게 나타나는 사건과 특징에 영향을 끼침.
 

하이든

대표작 :
올란도 팔라디노 팔라디움, 달나라( =달의세계 : Il mondo della luna)
올란도 팔라디노은 십자군 전쟁 당시 유럽의 전설적 영웅 '롤랑'에 대한 구전 문학 작품에서 비롯된 오페라.
 

모차르트

대표작 :
오페라 부파 -> 피가로의 결혼, 돈 지오반니, 코지판투테
징슈필 -> 마술피리 : 징슈필을 최상의 의미로 끌어올림. 비현실적. 낭만주의적 음악에 영향을 끼침.

*징슈필은 독일어로 된 대화체 오페라(레치타티보 대신 말로 연기함) -> 전고전주의 특징에 설명함.

 

베토벤

대표작 :
피델리오 -> 아내의 헌신적인 사랑 내용. 징슈필.
 
 

성악곡

하이든

오라토리오 '천지창조'
 

베토벤

가곡 '아델라이데' ,
오라토리오 '장엄미사' =Missa Solemnis.  가장 긴 미사곡. 미사 통상문으로 이루어짐.

(*미사통상문 : 키리에, 글로리아, 크레도, 상투스 아뉴스데이)
 

모차르트

레퀴엠
 
 
*4대 레퀴엠 : 모차르트, 베를리오즈, 베르디, 포레
 
 
 
 
이렇게 해서 고전주의의 음악 특징에 대해 설명은 오늘로써 끝이 났습니다.
 
사실 음악사를 설명하자면 끝도 없이 더 깊이 들어갈 수 있지만 이 공간은
정말 가볍게 음악사를 공부하고 싶으신 분들을 위하여 그리고 제가 공부하고 기록한 것들을
간략히 메모하여 남기기 위해 만든 공간이므로 아주 간단히만 정리하였음을 알려드립니다.
많은 분들께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다음 시간에는 이제 화려하고 다채로운 낭만주의 시대 소개로 
돌아오겠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