낭만주의 시대의 특징
고전주의 업로드 하고 시간이 꽤 흘렀습니다..
정말 오랜만에 음악사를 업로드하네요.
오늘부터는 낭만주의 음악을 시작하도록 하겠습니다.
낭만주의 시대의 일반적 특징과 음악적 특징을
구분하여 설명하고,낭만주의 시대의 성악음악,
기악음악, 교회음악, 후기 낭만주의 작곡가,
낭만주의 시대의 오페라의 특징까지 나누어
업로드할 예정이니 재미있게 읽어주세요 :)
낭만주의 [1820-1910]
*낭만주의를 구분하자면 19C전반의 전기낭만과,
19C말~20C초의 후기낭만으로 구분지을 수 있다.
낭만주의 시대의 일반적 특징
1. 인쇄술이 이전보다 발달하게 됨
-> 일반시민들도 악보를 볼 수 있게 됨
2. 가정에 악기 보급
3. 시민 합창단이 생김
->작곡가들이 아마추어들을 위한 곡을 만들게 됨
4. 악기가 정교해지고 새로운 악기가 탄생
->새로운 악기 : 금관악기
5. 오페라는 누구나 즐길 수 있는 오락이 됨
=> 산업화로 인해 도시로 인구가 몰려들게 되었고,
이렇게 발달된 도시에는 오페라 극장,
연주회장, 음악교육기관, 합창단이 생김.
낭만주의 시대의 음악적 특징
1. 서정적 선율
->악보가 불규칙적, 프레이즈가 불규칙적,
노래하는 선율을 가짐.
2. 표제음악(Program Music)
->19C 문학, 미학이 발달하면서, 소설과 시를
음악으로 표현하려 함.
-> 절대음악(Absolute Music)과 반대개념
(음악의 내적이 중요. 음악 그 자체가 중요)
-> 음악의 외적인 요소가 중요.
+ 표제교향곡
->베를리오즈 '환상교향곡' : 악장마다 부제가 존재함.
베토벤 교향곡 6번 '전원'에서 영향을 받음.
+교향시(Symphonic poem, tone poem)
->문학적 소재를 가진 단일 악장의 자유로운 형식의
관현악곡.
->표제음악 성격을 띠고 있음.
->리스트가 처음으로 '교향시'라는 단어를 사용.
->리스트는 13개의 교향시 작곡.
->대표곡 :
스메타나 '나의 조국'
시벨리우스 '핀란디아'
리하르트 슈트라우스 ' 자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생상 '죽음의 무도'
+음악회용 서곡
->관현악곡으로 교향시와 비슷.
->교향시와 음악회용 서곡의 차이점은,
음악회용 서곡은 소재적 내용이 더 많지만
길이는 교향시 보다 짧으며 낭만시대의
소품선호 경향을 드러낸다.
서곡의 기능 없이 독릭적인 기능을 보인다.
교향시는 소재적 내용이 적지만 길이는
음악회용 서곡보다 긴 것이 특징이다.
+연극음악, 부수음악
->연극음악 : 멘델스존 '한 여름밤의 꿈'
->부수음악 : 차이코프스키 '호두까기 인형'
3. 과거음악에 대한 관심
->바흐, 팔레스트리나 작품에 관심을 가지게 됨.
(ex. 멘델스존이 150여년 만에 바흐 '마태수난곡' 연주)
4. 화성
->선율을 뒷받침하는 역할.
->반음계, 변화화음, 불협화음 쓰임.
5. 형식
->대규모의 교향곡이나 오페라 작곡
->소규모의 성격소품, 예술가곡 작곡됨
->감정 중시
->고전보다는 자유로운 형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