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마 이 블로그는 피아노에 관심이 있으신 분들이 보실 것 같아요.
저는 일찍부터 악기를 시작해서 꽤 오랜 시간 동안 피아노만 공부해 왔는데요.
사실 피아노의 구조나 특징은 피아노를 시작하고 한참 후에 제대로 배운 것 같아요.
단순히 계이름을 읽고 연주를 하기 보단, 내가 배우고 있는 악기가 어떤 역사를 가지고 있는지, 어떤 특징을 갖고 있는지에 대해 공부하면 악기를 이해하고 다루기가 더 쉬워진답니다.
그런 의미로 오늘은 피아노의 역사 및 특징에 대해 아주 간단히 설명하려고 합니다.
1. 건반악기의 역사
피아노가 만들어지기 이전에는 하프시코드 와 클라비코드 가 있었습니다.
하프시코드 : 현을 뜯어서 소리냄. 페달 없음. 섬세한 셈여림 조절이 어려움.
클라비코드 : 터치에 의한 강약조절이 가능하지만 최대음량이 크지 않음.
이러한 단점들을 보완하여,
1709년, 크리스토포리에 의해 피아노가 발명됩니다.
2. 피아노의 특징
1) 88개의 건반으로 이루어짐(흰건반 : 52개, 검은건반 : 36개)
2) 건반의 터치강도에 따라 크고 작은 소리를 냄 -> 풍부한 음량
3) 페달 기능 생김
피아노는 piano로 보통 쓰이지만 pianoforte도 피아노를 표현하며 pf.로 많이 사용합니다.
3. 피아노의 음색과 음량
악기 고유의 선천적인 요소와 연주자의 조정에 의한 후천적인 요소로 피아노의 음색과 음량이 결정됩니다.
중요 요인은 건반을 때리는 힘, 해머가 줄 위에 머무는 시간, 연주자의 다양한 조절 능력에 따른 상호작용 등에 있습니다.
4. 그랜드피아노 와 업라이트 피아노 , 디지털 피아노
그랜드형 | 업라이트형 | |
구조 | 건반과 현이 같은 평면에 있고 해머가 현을 아래에서 때리는 구조물 | 건반의 움직임을 일단 수직 방향으로 전달하고 다시 수평으로 현을 친다. |
액션 | 해머가 현을 아래에서 치기 때문에 자체 무게로 자연스럽게 돌아오고 빨리 다음 타현을 준비할 수 있다. |
해머가 현을 수평으로 치기 때문에 원래대로 돌아오기 위해서는 스프링 장치가 필요하다. |
이탈장치 | 이중이탈장치로 빠른 트릴이나 연타가 잘 된다. | 싱글 이탈장치로 반복음을 치기가 힘들다. |
댐퍼 | 댐퍼도 중력으로 내려와 현을 누르기 때문에 정확히 음을 멈출 수 있다. | 댐퍼도 액션의 움직임에 연결되어 움직이며 용수철의 힘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음을 멈추는 효과도 약간 떨어진다. |
가운데페달 | 특정 음만 우리게 하여 음악에 좀 더 풍부한 뉘앙스를 줄 수 있다. | 머플러페달. 전체의 음량을 대폭 감소시킬수 있다. |
소프트페달 | 음량이 작고 부드러워질뿐만 아니라 음색도 변화 시킨다. | 해머가 현에 가까운 위치에서 타현하게 되므로 음량이 작고 부드러워진다. |
발음 (=소리를 내는 것) |
본체의 밑에서 소리가 퍼지는 것 뿐만 아니라 위 뚜껑을 열면 훨씬 소리가 개방적이 된다. 소리가 명확하다. | 전체가 상자처럼 되어있어 소리가 분명치 않은 경향이 있다. 울림이 제한적이다. |
디지털 피아노의 장단점
*장점
1)조율 불필요
2)헤드폰의 이용 가능
3)다양한 악기소리 연주 가능
4)녹음기능 가능
5)이동 및 사용 편리 및 공간활용도 높음
*단점
1)전원이 필요
2)영구적 사용 불가능
3)다이내믹한 소리를 표현하기 제한적
4)터치가 약함
5)전자기기 조작방법을 알아야 함
으로 볼 수 있겠네요!
여전히 피아노를 처음 시작하시는 분들 혹은 아이들 피아노 수업을 시작하시면서 업라이트와 디지털피아노 중에 고민하고 계시는 분들이 많으실텐데요.
저의 생각으로는 피아노를 처음 시작하는 학생들, 취미로 뉴에이지와 가요 정도의 간단한 곡들을 연주하려 하시는 분들은 디지털 피아노를 추천드립니다.
아무래도 층간소음의 문제도 있고 편한 시간대에 자유롭게 연습할 수 있다는 큰 이점이 있기 때문입니다.
요즘은 터치감이 좋은 무게감 있는 디지털 피아노가 많이 나와서 잘 살펴보시고 구입하시면 좋을 것 같아요.
하지만 클래식을 연주하거나 소나티나 이상의 곡을 연주하는 학생들은 터치나 악상표현 등 좀더 디테일하고 세심하게 다뤄야 할 부분들이 많다보니 업라이트를 권하고 있습니다.
이상으로 피아노의 구조 및 특징, 피아노의 종류에 대해 아주 간단히 알아보았습니다.
앞으로 이 공간은 음악에 대한 다양한 것들에 대해 공유하는 공간이 될 것 같아요!
많은 관심 부탁드려요><
'음악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농(HANON)은 필요할까요? (0) | 2023.05.30 |
---|---|
샾과 플랫에 대하여(with.조표와 임시표) (2) | 2023.05.27 |
낮은음자리표 계이름 빨리 읽기 (0) | 2023.05.25 |
높은음자리표 계이름 빨리 읽기 (0) | 2023.05.23 |
피아노 페달은 왜 3개일까요? (0) | 2023.05.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