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24

[우쿨렐레]여행을 떠나요 악보(C key)

요즘 우쿨렐레를 많이들 배우시죠? 학교에서도 아이들이 음악시간에 접하게 되고 음악학원에서도 특강으로 진행하기도 하고 문화센터 등등 우쿨렐레 강좌가 많이 개설이 되었더라고요. 아마 기타보다는 배우기가 쉽고 (기타는 6줄, 우쿨렐레는 4줄) 갖고 다니기도 쉽고 소리도 예뻐서 우쿨렐레의 인기가 좋은 게 아닌가 생각이 듭니다. 저도 아이들 우쿨렐레 수업도 같이 하고 있는데 제가 악보를 제작하면서 이곳에도 같이 공유하면 좋을 것 같아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 시간이 되면 우쿨렐레의 기초부터 차근히 올려드려도 좋을 것 같네요! 오늘 제가 공유할 악보는 조용필의 '여행을 떠나요'입니다. 이미 많은 분들께서 리메이크를 하셔서 다들 좋아하는 버전이 조용필 님 말고도 다양하실 것 같아요. 10대 친구들이 이 노래를 알고..

음악교육 2023.08.06

낭만주의 시대의 특징

고전주의 업로드 하고 시간이 꽤 흘렀습니다.. 정말 오랜만에 음악사를 업로드하네요. 오늘부터는 낭만주의 음악을 시작하도록 하겠습니다. 낭만주의 시대의 일반적 특징과 음악적 특징을 구분하여 설명하고,낭만주의 시대의 성악음악, 기악음악, 교회음악, 후기 낭만주의 작곡가, 낭만주의 시대의 오페라의 특징까지 나누어 업로드할 예정이니 재미있게 읽어주세요 :) 낭만주의 [1820-1910]*낭만주의를 구분하자면 19C전반의 전기낭만과, 19C말~20C초의 후기낭만으로 구분지을 수 있다. 낭만주의 시대의 일반적 특징1. 인쇄술이 이전보다 발달하게 됨 -> 일반시민들도 악보를 볼 수 있게 됨 2. 가정에 악기 보급 3. 시민 합창단이 생김 ->작곡가들이 아마추어들을 위한 곡을 만들게 됨 4. 악기가 정교해지고 새로운 ..

음악교육 2023.08.03

초견이 좋아지려면?

악기를 하시는 분들이라면 갖고 싶은 능력 중 하나 일 것입니다. “초견이 좋았으면 좋겠어요!” “악보를 빠르게 잘 보고 싶어요!” 다른 악기들도 물론 정확한 계이름에 박자를 지켜 연주하는 것이 어렵겠지만! 피아노는 특히 양손이 다른 음자리표를 보고 연주하기 때문에 더 큰 어려움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자, 그럼 우선... 초견이란 무엇일까요? 초견초견(sight-reading) 악보를 보고 처음부터 바로 부르거나 연주할 수 있는 능력. 초견 능력은 연주가에 있어 중요한 것 중 하나인데, 이것은 선천적인 소질에 의한다기보다는 후천적인 연습에 의해 발달시킬 수 있는 것이다. (출처 : 네이버 파퓰러음악용어사전&클래식음악용어사전) 네이버 지식백과에 의하면 위와 같은 뜻이 나옵니다. 피아노를 잘 연주하는 것과 초..

음악교육 2023.07.14

플라워댄스 악보(아주쉬운버전) + 곡 설명

안녕하세요 :) 오늘은 음악사 이야기가 아닌 새로운 내용을 업데이트하려고 합니다. 저는 피아노를 전공하여 현재 많은 학생들에게 피아노를 가르치고 있는데요. 피아노를 이제 막 시작한 친구들이나 아직 바이엘을 배우고 있는 친구들, 특히 초등생들은 교재만 배우기를 너무 지겨워 하더라구요. 병행곡집으로 동요나 쉬운 뉴에이지도 같이 하지만 아이들이 딱! 원하는 곡을 말할 때가 있는데 그런 곡들이 수록되지 않을 때도 있어요. 그렇다고 한 곡을 위해서 책 한 권을 매번 구입할 수도 없는 노릇이고요.. 그래서 저는 작곡과는 아니지만 제 나름의 편곡으로 학생들 레벨에 맞춰 하고 싶은 곡을 편곡해서 같이 수업을 하고 있어요. 매번 그렇게 하지는 못하지만 진도를 어느 정도 나갔거나 혹은 수업태도가 좋으면 원하는 곡을 연주할..

음악교육 2023.07.03

고전주의 기악음악 특징(협주곡,현악4중주,독주소나타,오페라)

지난 시간엔 고전시대의 특징과 대표작곡가 3명! 하이든, 모차르트, 베토벤에 대해 짧게 알아보고 이 작곡가들 각각의 교향곡의 특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잘 기억하고 계시겠죠? 다시 한번, 가볍게 복습해 보고~ 오늘은 3명의 작곡가들의 협주곡과 현악 4중주, 피아노 소나타와 오페라의 특징에 대해 공부해 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고전주의고전주의는 음악의 순수성, 구성미, 형식미를 중요하게 여기는 음악적 특징을 갖고 있다고 했습니다. 음악 외적인 요소는 중요하지 않고 음악 그 자체가 중요하기 때문에 절대음악(absolute music)이라고 불립니다. 그럼 지난 시간에 이어서 협주곡부터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협주곡고전시대 협주곡 특징-오케스트라와 하나의 악기가 대비를 이루는 형태의 독주협주곡을 ..

음악교육 2023.06.26

고전시대 대표 작곡가 하이든,모차르트,베토벤 중 제일 형은?

지난 시간에는 바로크시대와 고전시대 사이에 짧게 존재하였던 그러나 여러 중요한 음악적 특징이 등장했던 시대인 전고전주의에 대해서 작성했었습니다. 오늘은 고전시대에 대하여 얘기를 써볼까 합니다. 고전시대에는 우리가 잘 알고있는 대표작곡가 3명이 있습니다. 바로! 하이든, 모차르트, 베토벤 입니다. 서로 다른 나이대의 사진이긴 하지만 제가 종종 학생들에게 사진을 보여주고 누가 제일 먼저 태어났을 것 같냐고 물어보면 10명 중 8명은 베토벤이라고 답하더라구요. 대표적인 이유는 얼굴 인상, 이름이 주는 느낌, 음악의 느낌 등 다양한 이유를 얘기해서 재미있던 기억이 납니다. 이들이 살았던 시대적 배경의 특징과 각각의 작곡가들의 특징과 이 작곡가들을 중심으로 고전시대의 기악음악 특징들을 정리해놓을테니 오늘도 재미있..

음악교육 2023.06.10

바로크와 고전주의 사이에는 전고전주의가 있다!

제 목표는 제가 그동안 공부하고 학생들에게 수업했던 클래식 음악사의 내용을 간단하게 블로그에 정리해 놓으려고 하는데요. 제가 이쪽 분야로 엄청난 지식이 있는 것도 아니고 아주 디테일한 부분까지는 아직도 공부를 해야 하지만.. 저도 작성하며 다시 기억하면서 공부하고 음악사를 공부하려는 누군가에게 혹은 흥미가 생긴 누군가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으로 음악사 이론 정리를 시작해 봅니다. 다소 지루하고 재미없을지라도 아주 간단한 이론만 설명해 놓았으니 가벼운 마음으로 읽어주세요! 서양음악사 시대적 방향 음악사의 흐름을 크게 분류하자면, 고대(기원전 5000년~3세기) - 중세(450~1450) - 르네상스(1450~1600) -바로크(1600-1750) - 고전(1750~1820) - 낭만(18..

음악교육 2023.06.06

유튜브 모창가수의 길 BGM, 태양인김해준

모창가수의 길 요즘 유튜브에 재밌는 영상들이 정말 많이 올라오죠? 저도 보다보면 시간가는 줄 모르고 이것저것 찾아보며 유튜브를 즐겨보는데요. 그 중, 카페사장 최준으로도 알려진 김해준 님이 빅뱅 태양의 모창가수 컨셉으로 나와 태양인이라는 이름으로 다양한 영상을 보여주시던데 너무 웃기더라구요. 태양님의 유명한 “여러분~ 많이 보고 싶었어요?” 이 멜로디를 그대로 따와서 모든 말을 이런식으로 합니다.. 약간 타령으로 변질된 느낌이 드는게 어이없으면서도 웃겨요ㅎㅎ 동료 모창가수로는 지드래곤(찌드레곤), 자이언티(자이언턱), 지올팍(지올팥) 등 많은 분들이 나오시던데 보다보면 시간 가는 줄도 모르겠더라구요~ 개그맨 분들은 정말 대단한 끼를 가지고 계신 것 같아요🤗 무튼, 영상을 재밌게 보고 있었는데 제 귀에 굉..

음악교육 2023.06.02

하농(HANON)은 필요할까요?

성인 취미생 분들이 많이 여쭤보시는 질문 중 하나 입니다. "선생님, 하농 꼭 연습해야 하나요?" "이거 연습해도 좋아지는지 모르겠어요." "너무 재미없고 지루해서 하기 싫어요" 여기저기 검색해보니 하농을 하라고 한다. 하농을 해야 실력이 좋아진다고 한다. 라는 말들을 들으시면서 하고 싶은 마음은 사실 없는데..이왕 또 배우는 거 하농도 해야하나 갈등하고 계시는 분들 많으시죠? 사실 성인 취미생 분들은 대부분이 마음을 정화시키기 위해 스트레스 해소용으로 (연습하다 보면 스트레스가 살짝 올라기도 하지만) 악기를 배우고 계실텐데요. 저는 수강생분들께 이렇게 말씀드립니다. '나는 뉴에이지나 가요를 가볍게 치는 것으로 만족한다. 완성도 있는 음악보다는 그때 그때 내가 배우고 싶은 곡 어느정도 칠 수 있게만 연주..

음악교육 2023.05.30

샾과 플랫에 대하여(with.조표와 임시표)

도레미파솔라시를 연주하다 보면 흰 건반만 누르며 올라가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럼 검은 건반은 도대체 언제 누르는 것인가? 궁금하실텐데요. 온음과 반음 음과 음의 거리를 음정이라고 하고, 온음정과 반음정으로 구분을 해볼 수 있습니다. 이것을 우리는 온음과 반음으로 부릅니다. 건반을 보시면서 이해하면 훨씬 쉽습니다. 반음 : 건반과 건반 사이가 바로 붙어있는 가까운 거리 온음 : 반음+반음(반음을 2번 지나감) 이라고 생각하시면 쉽습니다! 여기서 퀴즈! 무늬가 있는 갈색화살표로 표시되어 있는 미 와 파, 시 와 도는 반음일까요? 온음일까요? 제가 수업하는 수강생들에게도 종종 퀴즈를 내는데 정말 다양한 답변이 나온답니다^^^^ 정답은 미 와 파, 시 와 도는 반음입니다. 건반과 건반사이가 바로 붙어있는 ..

음악교육 2023.05.27